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상이야기 프리즘
HOME > Webzine 프리즘 > Webzine 프리즘
본문 시작

webzine 프리즘

프리즘은 한국장애인인권포럼에서 분기마다 발간하는 웹진입니다

지난호바로가기 이동
컬쳐포유

포토 에세이프리즘

계단과 무존재


계단과 무존재

얼마 전까지 인류사에서 인간의 대다수는 미천한 존재였다.
물론 문자해독권을 독점한 소수의 사람들은 신의 뜻이나 세상의 이치를 안다는 명분 하에 인간으로 취급되었다. 무력을 쓸 줄 아는 사람들의 일부도 인간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그뿐이었다. 나머지 대다수는 미천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소수의 사람들은 그 나머지 다수를 소인, 어리석은 작은 자로 칭했으며 더 나아가 비인간, 동물로까지 인식했다. 사제, 양반 혹은 브라만으로 칭해지는 인간들 그리고 소인 혹은 미물로 칭해지는 인간들. 그 사이에는 많은 차이들이 있었지만, 그 차이들의 대강은 결국 어디에 살고, 무엇을 입고, 무엇을 먹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의 수준이었다.

다수의 사람들에겐 의식주에 관한 결정권이 없었으며, 그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물건처럼 공여되거나 팔려 다니는 그런 동물스런 존재들이었다. 자유를 향한, 자기결정을 향한, 인간다움을 향한 해방운동의 역사는 그래서 전 인류사를 관통한다. 농민해방, 노동자해방, 민족해방, 여성해방, 흑인해방...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도 지겠다는, 자결의 의지를 향한 해방운동의 면면들이다. 저 긴 인류사적 과정으로서의 해방과정을 통해 이제는 많은 인간 집단들이 인간 취급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일단의 사람들은 여전히 미물이다. 그들 중에 장애인이 있다. 근대 영국의 수용시설 베들람에서 일요일에 1페니씩을 받고 장애인들을 구경시켰을 때 그들은 동물이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장애인의 삶은 지금도 인간스럽지 못하다. 학교에서 따돌림의 대상이고, 공원에서 놀림의 대상이고, 식당에서 거지취급의 대상이다. 경우에 따라 장애인들은 현대사회에서 동물을 넘어 무존재이다. 저 위대한 오르지 못할 계단들로만 만들어진 집, 공원, 지하철, 버스 승강장 등 현대의 구조물들과 마주할 때마다 우리는 장애인의 사회적 무존재성을 어렵지 않게 감지한다.

저 계단을 만든 사람들이나 이용하는 사람들의 삶과 인식 속에 장애인은 없다.
척수장애를 갖기 전에 내가 그랬듯이...

프린트하기

전체보기